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심리적 트리거 방아쇠는 당겨질까 당길까

by rangrang18C 2025. 8. 9.
넷플릭스 ‘트리거’처럼 폭력으로는 풀 수 없는 갈등이 있다. 분노의 방아쇠를 내려놓는 법이 있을까
 

Netflix Korea

[넷플릭스] 트리거 | 공식 예고편

tv.naver.com

넷플릭스 액션 스릴러 '트리거'는 총기 청정국 대한민국에서 벌어지는 불법 총기 유통과 그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다룹니다.
제목 트리거는 아래와 같이 두 가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1. 물리적 방아쇠 – 총을 발사하는 장치로, 작품 속 폭력과 총기 확산을 상징
  2. 심리적 촉발 요인 – 분노, 트라우마, 불안을 자극하는 계기이자, 인물들의 행동을 결정짓는 심리적 방아쇠

넷플릭스 드라마 '트리거'는 총기라는 물리적 방아쇠뿐 아니라, 인간 내면의 심리적 방아쇠를 날카롭게 보여줍니다.
문백(김영광)의 행동은 사회적 불만과 분노를 자극하며, 마치 한 번 당기면 멈출 수 없는 폭발처럼 퍼져갑니다.
하지만 심리학적으로 볼 때, 이 '방아쇠'는 단순한 순간의 감정이 아니라 과거 경험, 무의식, 사회적 압력이 복합적으로 작동한 결과입니다.

 

넷플릭스 트리거를 보면서 방아쇠는 담기는 심리, 자의적인것으로 말하지, 타의적인 것으로 말할 수 있을지 궁금해졌습니다. '결국 방아쇠를 당기는 어떠한 계기가 있다는 것인데, 과연 그것을 남의 탓으로 돌릴 수 있는 사회인가. 나는 당겨지는 상황에서 당기지 않고 해결하는 방법이 있을까?' '분노의 방아쇠를 당기는 순간, 내 마음속에서 무슨 일이 벌어질까?'

심리적 트리거란 무엇인가?

심리학에서 트리거(Trigger)는 강렬한 감정 반응을 촉발하는 자극을 의미합니다.

  • 과거 트라우마
  • 불공정 경험
  • 모욕, 무시와 같은 대인관계 상처
  • 사회적 불안과 비교

이런 요소들이 누적되면, 작은 사건 하나에도 과도한 분노나 불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즉, 방아쇠는 현재의 사건이 아니라 과거의 상처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트리거가 갈등을 폭발시키는 과정

심리학자 다니엘 골먼(Daniel Goleman)은 '감정적 하이재킹(Emotional Hijacking)'이라는 개념을 말합니다.

  1. 자극(Trigger)을 받는다.
  2. 뇌의 편도체가 빠르게 반응하여 '위험' 또는 '모욕'으로 인식한다.
  3. 이성적 판단을 담당하는 전두엽보다 먼저 감정이 행동을 지배한다.
  4. 즉각적인 공격, 방어, 회피 반응이 나타난다.

'트리거' 속 인물들은 이 감정적 하이재킹 상태에서 폭력과 갈등을 선택합니다.

일상에서 트리거를 다루는 3단계

  1. 인식 – 내 감정이 왜 이렇게 강하게 반응하는지 '과거 상처'와 연결해본다.
  2. 멈춤 – 심호흡 5번, 자리에서 잠시 벗어나기, 대화 중단 등 물리적 거리 두기.
  3. 대체 반응 – 공격 대신 질문하기, 비난 대신 요청하기, 혼자 기록하기.

이 3단계는 심리학에서도 추천하는 방법입니다.


방아쇠는 내 손에 있다

'트리거'의 세계에서는 방아쇠가 갈등의 시작점이지만, 우리의 삶에서는 방아쇠를 내려놓는 순간이 평화의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
심리학은 '왜' 우리가 폭발하는지 알려주고, '어떻게' 그 폭발을 멈출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분노의 트리거를 다루는 진짜 힘은, 내 감정을 알아차리고, 멈추고, 더 좋은 반응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결국 방아쇠는 내 손으로 당길 수 있고 당기지 않을 수 있습니다.